자살예방정보
  • 자살예방이란?

주변의 가족이나 친구가 ‘ 나...죽고 싶어”라고 말한다면 당신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누군가 당신에게 “죽고 싶다”라고 말한다면 그 사람의 죽고 싶다는 표현에 대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그 사람의 생각에 대해 “설마 죽기야 하겠어.” 라고 가볍게 여기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만일 급박한 위기에 처해 있거나 자해나 타해 위험이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을 혼자 두지 말고 곧바로

경찰, 119, 1577-0199(자살위기 정신건강 상담전화)에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 자살에 대한 궁금증
우울증이 자살위험성을 높이나요?
  • 일반적으로 우울증이 없는 분들에 비해 자살위험성이 높기는 하며, 자살을 통한 죽음의 요인은 부분적으로 우울증의 심각성과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 자살을 시도한 사람들 중 60%가 기분장애(우울증, 조울증, 기분부전장애)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살이 충동적인 것과 관련이 있나요?
  • 충동적이라는 것 자체가 계획을 하지 않거나 결과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고 행동 하는 경향을 뜻합니다. 이러한 충동적인 성향은 정신과적인 증상이기도 하며, 자살행동에도 연관이 되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충동적인 성향은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행동과 연관되어 자살을 하거나 혹은 타살을 하기도 하며, 공격성과 폭력성이 없는 충동성의 경우에도 자살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자살이 전염된다는 얘기가 있던데 무슨 말인가요?
  • 하나의 가족 내에서 자살자가 나타나면 다른 가족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하며, 또한 TV와 인터넷, 신문 등을 통한 자살사건의 보도가 자살률을 증가 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자살전염이라고 합니다.
미디어의 영향으로 인한 자살전염은 언론의 노력으로 최소화 시킬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아주 간결하고 사실에 입각한 보도만을 하는 것이며, 자살사건에 대한 보도는 되도록 반복적으로 장기간 보도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 자살 경고 표시 알아두기
자살 경고 표시 알아두기. 1.자살에 대해 이야기한다. 2.만성질환으로 고통 받는 경우, 3.주변을 정리하는 행동을 한다. 4.몸을 돌보지 않거나 자해행동을 한다. 5. 환경에 변화가 있거나 소중한 사람을 잃은 경우. 6.술이나 약물을 복용한 후 자살도구가 주위에 있는 경우.